DEVOPS/Docker

도커 기본 개념

블루티카 2022. 3. 21. 08:37

귀엽다....

 

회사 동료가 도커를 공부하는 저에게 와서 도커 이미지랑 컨테이너 차이점이 뭐냐고 했었는데....

대답이 별로 였던거 같아 다시 공부해서 정리를 하였다.

 

Docker의 구성요소

컨테이너

개별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필요한 실행환경을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기반환경 또는 다른 실행환경과의 간섭을 막고 실행의 독립성을 확보 해주는 운영 체계 수준의 격리 기술이다.

 

가상 머신은 하드웨어 스택을 가상화하는데 반해, 컨테이너는 운영체제 수준에서 가상화를 실시하여 다수의 컨테이너를 OS커널에서 직접 구동하는 방식이다.

  • 동일한 런타임 환경 제공
  • 애플리케이션의 샌드박스화
  • 디스크 용량 감소
  • 낮은 오버헤드

이미지

컨테이너  실행에 필요한 파일과 설정값 등을 포함하는 것을 뜻하며, 상태값은 없고 변하지 않는다.

 

 

결론

컨테이너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이미지에 무언가를 추가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미지는 불변의 파일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 어플 실행 파일과 카카오톡 어플을 실행을 위한 파일들을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어플의 실행 파일은 개발자가 임의로 변경시키지 않는 이상 변경되지 않는 고정 파일이 되는 것이고, 

어플을 업그레이드 할 때는 실행에 필요한 파일들이 업그레이드 되는 것이다.

즉, 어플 실행 파일은 이미지 실행을 위한 파일들은 컨테이너가 된다.

'DEVOPS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Docker)가 무엇인가요?  (0) 2022.03.20